XENIX(제닉스)

1-pass CBR / 1-pass VBR / 2-pass CBR

DaumPot Encoder 2010.02.16 댓글 XENIX

위의 제목은 다음팟인코더로 인코딩을 할 때 선택할 수 있는 3가지 모드입니다.

1-pass CBR은 비트레이트 기준으로 인코딩 하는 방식이고 1-pass VBR은 비디오 품질기준으로 인코딩합니다. 그리고 마지막 2-pass CBR은 위 두가지 방식을 혼합하여 인코딩 하는것입니다.

테스트에서는 1pass CBR의 경우 평균비트레이트에서 10% 더 추가한 값을 주고 인코딩했으며 1pass VBR의 경우 비디오 품질을 100으로 했구요, 2pass CBR의 경우 비트레이트를  1pass CBR의 값을 유지했습니다.

일단 아래 영상은 그 결과물을 한 화면에 담아 본 모습입니다.


테스트 동영상을 하나 가지고 위 3가지 방식대로 인코딩을 해서 결과물을 육안으로 확인했을때는 사실 차이를 분간해내기 어려웠습니다. 그래서 예전에 한번 설명드렸던 내용( 위의 객관적인 화질측정)중에 사용했던  MSU Video Quality Measurement Tool을 가지고 비교를 해봤습니다.

비디오를 비교하는것이 확실한 방법이긴 하겠지만 굳이 그렇게 하지 않더라도 영상중에 제일 움직임이 빠른 순간의 동일한 프레임을 BMP 이미지로 각각 받아내어 이를 MSU VQMT로 돌려봤습니다. 그 결과는 아래와 같습니다.
 

사실 신호대 잡음비(PSNR)가 30dB 이상이면 육안으로 그 차이를 느끼지 못할 정도라 합니다. 위 그림에서 보듯이 모두 30dB이상의 값을 나타낸것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아래 그림은 미세한 차이를 억지로 알아보고자 프레임을 확대하여 비교해본것입니다.


1 pass VBR과 2 pass CBR이 PSNR 데이타로 보나 위의 비교이미지로 보나 1 pass CBR 보다는 보다 나은 결과물을 얻을 수 있는것으로 보이나 1 pass VBR과 2 pass CBR간에 수치적으로는 미세한 차이가 있어보이나 2 pass의 여러가지 비용적인 측면(인코딩에 걸리는 시간등)으로 보자면 우열을 결정하는 것은 의미가 없어보이며 인코딩 목적에 맞는 방식을 취사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 생각합니다.

위의 테스트는 지극히 개인적인 관점에서 테스트한 내용이고 여러가지 제반사항에 있어서 특히 일시점의 프레임을 다룬 내용이 오차를 둘 수 없을 정도로 테스트기준에 부적당하고 무모한 선택이었을수도 있으니 절대적인 참고자료는 아니라는 점 밝혀둡니다.

실전 인코딩 - FLV to AVI

- 먼저 FLV파일을 불러온 후 그림처럼 파일형식을 AVI로 선택하시고 인코딩 하셔도 되지만 세부설정버튼으로 인코딩 옵션을 마무리 하는게 깔끔합니다. - 원본 파일정보를 참고하여 초당프레임수(FPS)를 선택하시고 화면크기를 유지 또는 변경하실 수 있습니다. - 오디오탭 역시 원본 오디오 정보를 참고하여 동일값 내지는 최대근사값을 입력합니다. 코덱은 MP3 코덱을 선택합니다. 그리고 바로 인코딩 하시면 됩니다.

2010.02.16

FLV로 변환

AVI,WMV,MP4,MKV등등의 포맷으로 된 동영상들을 다음팟인코더를 통해서 FLV포맷으로 간단하게 변환시킬 수 있습니다. 그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먼저 변환하고자 하는 파일을 불러옵니다. - 인코딩옵션에서 플래시비디오를 선택하면 지정된 프리셋이 로드되는데 이 상태로 바로 인코딩을 시작해도 되지만 세부설정을 통해 옵션을 마무리 하는 것이 좋습니다. - 압축방식, 1PASS-VBR, 비디오품질은 아래와 같이 인코딩 옵션을 설정하시구요 FPS는 원본파일 정보의 값을 유지하시고 필요에 따라 화면의 크기를 조절(리사이즈)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는 4:3비율로 줄여보았고 리사이즈하는데 LANCZOS 리사이즈 필터를 적용해보았습니다. -오디오 역시 원본 정보를 참고하여 선택할 수 있는 동일한 값 또는…

2010.02.16

실전 인코딩 - MKV to WMV

- 먼저 인코딩할 파일을 불러온 후 하단의 세부설정을 클릭하여 상세 인코딩 옵션을 지정합니다. - 인코딩에 사용할 코덱으로 WMV2를 선택하고 최고품질기준으로 인코딩하도록 세팅합니다. 초당 프레임수(FPS)는 원본 정보를 참고하시고 화면의 크기를 유지할 수도 또는 변경할 수도 있습니다. - 오디오 쪽에서는 일단 WMA 코덱으로 인코딩하도록 하며 기타 상세옵션은 원본정보에 준하도록 합니다. 알수없음이라고 표시된 항목에 대해서는 GSpot이나 AVIcodec같은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정보를 찾는것도 바람직한 방법입니다.

2010.02.14

실전 인코딩 - MKV to AVI

[DaumPot Encoder] - 실전 인코딩 - WMV to MP4 [DaumPot Encoder] - 실전 인코딩 - MOV to AVI - 먼저 MKV 파일을 불러온 후 세부설정을 클릭하여 나머지 인코딩 옵션을 지정해줍니다. - 코덱은 흔한 XviD코덱( 설치되어있지 않은 경우 다운로드 후 설치)을 선택하시구요 GSpot이나 AVIcodec과 같은 코덱정보뷰어 프로그램으로 비트레이트를 확인한 후 비트레이트 기준으로 인코딩을 하셔도 되는데 여기서는 무난하게 품질기반으로 인코딩을 해보겠습니다. 용량을 줄이려면 품질수치를 낮추면 됩니다. 초당 프레임수(FPS)는 원본 정보를 참고하셔서 입력하시고 화면 사이즈는 필요에 따라 선택하시거나 원본사이즈를 유지하셔도 됩니다. - 오디오코덱 또한 무난하게 MP3 …

2010.02.14